충격! 게임 콘솔 가격이 40년간 얼마나 올랐을까? 인플레이션 고려한 실제 가격 비교

인플레이션을 계산하면 실제로는 게임기 가격이 더 싸졌다?
지난 6월 8일 레딧에 게임 콘솔과 휴대용 게임기의 출시 가격을 2025년 6월 기준 인플레이션을 고려해 비교한 자료가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한 유저가 올린 이 게시물은 게임 콘솔의 실질 가격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토론으로 이어졌습니다.
게시된 자료에 따르면, 1972년 11월 출시된 최초의 가정용 게임기 매그나복스 오디세이는 당시 100달러였지만, 2025년 기준으로 환산하면 무려 767.45달러에 달합니다. 1986년 출시된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NES)은 당시 180달러에 출시되어 현재 가치로는 626.85달러, 1989년 출시된 게임보이는 90달러로 현재 가치 232.34달러에 해당합니다.
반면 2020년 11월 출시된 플레이스테이션 5는 500달러로, 4년이 지난 현재 기준으로 619.75달러의 가치를 갖는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과거 게임기들이 현재 가격으로 환산하면 상당히 고가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자료의 정확성에 의문 제기하는 댓글들
그러나 이 자료는 곧 레딧 유저들의 날카로운 지적을 받았습니다. 가장 많은 추천을 받은 댓글은 NES의 출시 가격에 대한 오류를 지적했습니다.
"작성자님은 어디서 정보를 얻으신 건가요? 이미지에서는 NES가 180달러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99달러였고 컨트롤러 2개와 게임까지 포함된 가격이었습니다. 1986년 시카고 트리뷴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이것을 인플레이션 반영 시 289달러에 불과합니다."
해당 댓글 작성자는 180달러는 컨트롤러 2개, R.O.B., 라이트 건, 게임 2개가 포함된 디럭스 세트의 가격이었으며, 심지어 이 세트도 실제 판매점에서는 140달러에 판매되었다고 증거 자료와 함께 주장했습니다.
흥미롭게도 이 댓글 이후 원 게시물 작성자는 해당 유저를 차단했다고 하며, 이에 댓글 작성자는 추가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90년대 이전에는 콘솔 출시가 지금과 달리 전국 동시 출시가 일반적이지 않았으며, 전 세계 동시 출시는 최근 10-15년 사이에 생긴 현상이라는 것입니다. NES도 처음에는 1985년 말 뉴욕에서만 출시되었고, 이후 로스앤젤레스에서 출시되었으며, 이 초기 테스트 출시 버전이 나중에 디럭스 세트로 재브랜딩되었다는 역사적 배경도 설명했습니다.
게임큐브, 닌텐도의 절정기?
많은 추천을 받은 또 다른 댓글에서는 "이 자료는 게임큐브가 닌텐도 콘솔의 절대적인 정점이었다는 내 믿음을 강화시켜준다. 단지 노스탤지어에 눈이 먼 게 아니야, 진짜로"라는 유머러스한 의견이 나왔습니다.
실제로 게임큐브는 당시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가격으로 출시되었으며, 현재 가치로 환산해도 다른 콘솔들에 비해 경쟁력 있는 가격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과 실질 구매력의 관계
한편, 일부 유저들은 단순히 인플레이션만 고려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한 유저는 "인플레이션에만 초점을 맞추는 사람들은 항상 무지하거나 중요한 점을 빼놓는 것 같다. 구매력, 또는 달러의 가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했다"며 통계 자료를 링크했습니다.
이에 다른 유저는 "인플레이션과 구매력 감소를 어떻게 구분하시는지 설명해주시겠어요? 두 개념은 본질적으로 연결되어 있는데요"라고 반문했고, 또 다른 유저는 "인플레이션은 구매력의 감소를 측정하는 것이다. 둘은 같은 개념이다"라고 지적했습니다.
과거와 현재, 어느 시대가 더 득일까?
이번 자료를 통해 흥미로운 점은 게임 콘솔 가격이 인플레이션을 고려하면 오히려 과거보다 현재가 더 저렴해졌다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반드시 게임기가 더 접근하기 쉬워졌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생활비 증가와 실질 임금 정체를 고려한다면, 오늘날의 게임기 가격이 가계에 주는 부담은 여전히 무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과거 게임기들은 현재처럼 온라인 구독, 추가 컨텐츠 구매 등의 추가 비용이 거의 없었다는 점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반면 요즘 콘솔들은 초기 구매 가격 외에도 지속적인 추가 비용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단순 인플레이션만 고려한 가격 비교는 재미있는 자료이지만, 실제 경제적 부담을 완전히 반영하지는 못한다는 것이 레딧 유저들의 대체적인 의견으로 보입니다.
원본 레딧 게시물: https://reddit.com/r/gaming/comments/1l6hg9s/videogameconsoleandhandheldlaunchprices/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