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생성 이미지로 카르마 농사하는 레딧 커뮤니티들, 결국 본색 드러났다

'게임 헌팅' 커뮤니티도 AI 이미지에 손들었다
8월 8일, 레딧 r/antiai 커뮤니티에서 흥미로운 폭로글이 올라왔다. 게임 헌팅(희귀 게임 발굴) 관련 서브레딧들이 AI 생성 이미지를 사용해 카르마(추천 점수) 농사를 짓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게시자는 "게임 헌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든, 카르마 농사용 서브레딧들이 AI 쓰레기 이미지를 지지하기 시작한 것은 그들의 정체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대목"이라고 비판했다. 해당 게시물은 149개의 추천을 받으며 많은 공감을 이끌어냈다.
1분이면 MS 페인트로도 가능한 수준
댓글에서는 더욱 신랄한 반응이 이어졌다. 한 유저는 "정말 웃긴 게, 포토샵은 고사하고 MS 페인트, 워드, 파워포인트로도 1분이면 똑같은 결과를 만들 수 있는데, 그러려면 사용법을 알아야 하니까 그런 거겠지"라며 비꼬았다. 이 댓글은 33개의 추천을 받았다.
또 다른 유저는 "clevercomebacks(영리한 반박) 서브레딧도 요즘은 정말 엉망이 됐다"며 30개의 추천을 받았다. 이는 AI 생성 콘텐츠가 여러 커뮤니티로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카르마 농사의 새로운 수법
레딧에서 카르마 농사는 오래된 문제다. 높은 카르마 점수를 받기 위해 인기 있는 콘텐츠를 재탕하거나 조작하는 행위를 말한다. 그런데 이제는 AI 생성 이미지까지 동원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게임 관련 커뮤니티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희귀한 게임을 발굴했다거나 특별한 에디션을 구했다는 식의 게시물에 AI로 생성한 이미지를 첨부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진정한 게이머 문화 vs 허상의 경계
게임 헌팅 문화는 원래 진정한 게임 애호가들이 만들어낸 것이었다. 단종된 게임이나 한정판을 찾아다니며 게임의 역사를 보존하려는 노력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그런 진정성마저 AI의 침입으로 흔들리고 있다.
한 커뮤니티 관찰자는 "결국 이런 서브레딧들이 추구하는 건 커뮤니티 가치가 아니라 단순한 관심 끌기였다는 게 드러났다"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AI 시대, 진짜와 가짜의 구분
AI 생성 이미지의 품질이 점점 높아지면서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게임 관련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경우가 많아 AI로 만들어내기 쉽다.
문제는 이런 가짜 콘텐츠가 진정한 게이머들의 경험과 섞여 커뮤니티 전체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는 점이다. 진짜 희귀 게임을 찾은 사람들까지 의심받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레딧 운영진의 對應은?
현재 레딧 운영진은 AI 생성 콘텐츠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일부 서브레딧에서는 자체적으로 AI 콘텐츠를 금지하는 규칙을 만들고 있지만, 전체적인 정책은 아직 미흡한 상태다.
게임 커뮤니티 전문가들은 "AI 기술 발전에 맞춰 플랫폼 운영 정책도 빠르게 변화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진정성이 중요한 게임 헌팅 같은 문화에서는 더욱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8월 8일 올라온 이 폭로글은 단순한 비판을 넘어, AI 시대 온라인 커뮤니티가 직면한 새로운 도전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진정성을 지키는 일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는 현실 말이다.
원문: https://reddit.com/r/antiai/comments/1mkjgq4/no_matter_what_you_think_about_game_hunting_i/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