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딧 AI가 '어공주'를 완전히 오해했다... 액션 게임으로 착각한 충격적인 제안들
레딧 AI의 황당한 오해
지난 9월 28일 레딧에서 흥미로운 일이 벌어졌다. 레딧이 게시물 하단에 AI 기반 관련 제안을 표시하는 기능을 도입했는데, 이 AI가 인디 게임 '어공주 살해(Slay the Princess)'를 완전히 다른 게임으로 오해한 것이다.
AI가 제안한 내용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 공주를 물리치는 최고의 전략 - 공주와 싸울 때 사용할 최고의 무기 - '어공주 살해' 게임의 숨겨진 비밀들 - 공주를 죽이기 위한 캐릭터 빌드 - 공주를 잡기 위한 효과적인 함정들
문제는 '어공주 살해'가 전혀 그런 게임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 게임은 액션이나 RPG가 아닌 내러티브 중심의 비주얼 노벨 장르에 가깝다.
유저들의 폭소 반응
이 황당한 AI 제안을 본 레딧 유저들은 즉각 재치 넘치는 반응을 쏟아냈다. 가장 많은 공감을 받은 댓글(197개 추천)은 실제 게임 플레이어들만 알 수 있는 농담으로 가득했다:
- "망설이지 마라"
- "순수한 검날이 확실한 선두주자"
- "게임 전체가 기본적으로 숨겨진 비밀"
- "완고함 + 반대론자 조합이 OP급"
- "사슬이나 가시덩굴이 효과적인 것 같다"
특히 "공주를 잡기 위한 효과적인 함정" 제안에 대해서는 "회의론자와 함께 굴로 가는 방법을 설명해주는 건가"라며 게임 내 특정 루트를 언급하는 농담이 나왔다.
게이머들의 창의적인 해석
유저들은 AI의 오해를 역이용해 게임을 마치 RPG처럼 해석하는 재미있는 댓글들을 달았다:
빌드와 리스펙 농담 "아 젠장, 내 빌드를 잘못 짠 것 같은데, 리스펙 방법이 나와 있나?"라는 질문에 "[자살하기]를 시도해봐"라는 답변이 달렸다. 이는 게임 내 실제 선택지를 패러디한 것이다.
최고 전략 토론 "최고 전략은 [그 눈빛]이다"라는 댓글도 게임을 플레이해본 사람들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
밸런스 패치 요구 한 유저는 "내 빌드가 나쁜 게 아니라, 적이 강철 의자 무기를 굴리는 게 너무 OP다. 스턴락에 걸리고 완고함의 죽음 저항 퍼크도 무시해서 자원을 완전히 낭비하게 만든다"며 마치 실제 액션 게임의 밸런스 문제를 논하듯 농담했다.
AI의 한계가 드러난 사례
이번 일은 AI가 게임 제목만으로 내용을 추측할 때의 한계를 보여준다. '어공주 살해'라는 직설적인 제목 때문에 AI가 이를 액션이나 RPG 게임으로 분류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는 이 게임이 선택에 따라 이야기가 분기되는 심리적 호러 비주얼 노벨이라는 점에서, AI의 오판이 더욱 극명하게 드러났다.
한 유저는 "AI는 모든 곳에 쓰레기 같은 제안을 하고 있어서 짜증난다"며 레딧의 AI 기능 전반에 대한 불만을 표했다.
게임 커뮤니티의 새로운 밈 탄생
이번 사건은 '어공주 살해' 커뮤니티에 새로운 밈을 선사했다. 유저들은 앞으로도 게임을 마치 하드코어 RPG처럼 논하는 농담을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AI의 실수가 오히려 게임 커뮤니티에 웃음을 선사한 흥미로운 사례로 남을 듯하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이런 황당한 오해들도 점차 줄어들겠지만, 당분간은 게이머들에게 좋은 밈거리를 제공할 것 같다.
출처: https://reddit.com/r/slaytheprincess/comments/1nsx7eq/reddits_started_putting_ai_suggestions_at_the/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