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보니 원딜이 롤에서 가장 캐리력 좋은 포지션이었다? 포벨터의 183게임 챌린저 달성기

알고보니 원딜이 롤에서 가장 캐리력 좋은 포지션이었다? 포벨터의 183게임 챌린저 달성기

미드 장인이 원딜로 갈아탄 이유

8월 26일, 북미 리그 오브 레전드 전 프로게이머이자 스트리머인 포벨터(Pobelter)가 원딜 포지션으로 183게임 만에 챌린저 티어에 도달했다. 64%의 높은 승률로 달성한 이번 도전은 '원딜이 과연 약한 포지션인가?'에 대한 흥미로운 답변을 제시했다.

포벨터는 자신의 스트림에서 "원딜을 해보고 나서 생각보다 정말 재미있는 포지션이라는 걸 깨달았다"며 "항상 할 일이 있고, 게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고 평가했다.

원딜의 숨겨진 강점들

포벨터가 발견한 원딜 포지션의 장점들은 기존 인식과는 상당히 달랐다:

게임의 중심이 되는 포지션

- **전체 게임의 95%가 봇 라인에 집중된다**: 탑 라인과 달리 항상 관심을 받으며 게임 결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 **봇 라인이 이기면 팀 승리 확률이 크게 상승**: 다른 라인대비 승부 영향력이 압도적으로 높다
- **서포터를 '해금'시키는 역할**: 라인전에서 이기면 서포터가 자유롭게 로밍하며 모든 라인을 승리로 이끌 수 있다

오브젝트 게임의 핵심

- **중립 몬스터와 포탑에 가장 큰 피해**: 모든 오브젝트 획득에 원딜이 필수
- **드래곤과 전령 모두 봇 라인 승부가 좌우**: 봇에서 이기면 두 오브젝트를 모두 가져갈 수 있다
- **후반 스케일링 보장**: 게임이 길어질수록 확실한 캐리 능력

하지만 여전히 존재하는 단점들

물론 원딜 포지션의 고질적인 문제점들도 여전했다:

- **고랭크에서 오토필 서포터와 만나면 게임이 망가진다**: 특히 그랜드마스터 이상에서는 치명적
- **지루한 라인전**: 많은 매치업이 수동적이고 재미없는 플레이로 이어진다
- **메이지 상대로는 상호작용 없는 파밍 게임**: 승리는 가능하지만 재미가 떨어진다

북미 원딜러들의 문제점 지적

포벨터는 북미 원딜 플레이어들의 실력에 대해서도 날카로운 분석을 내놓았다:

기술적 한계

- **소극적인 플레이**: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 안전한 플레이만 추구
- **웨이브 컨트롤 미숙**: 푸쉬, 프리즈, 풀 등 기본기 부족
- **매크로 부재**: 로테이션 타이밍을 모르고 무작정 파밍만 한다
- **라인전 약점**: 미니언 넘어서 딜교환, 올인 타이밍, 정글러 동선 파악 부족

특히 충격적이었던 건 한국과의 비교

"북미의 소나 장인들은 한국에서는 다이아도 못 갈 실력인 것 같다. 한국에는 봇 라인에서 도란의 방패 + 재생의 바람 + 텔포 조합이 거의 없으니까, 공격적인 딜교환을 배워야 한다."

원딜러들을 위한 실전 조언

183게임의 경험을 바탕으로 포벨터가 제시한 개선 방안들:

리스크 테이킹의 중요성

- **한계 테스트를 더 많이 하라**: 원딜은 변동성이 가장 큰 포지션이므로 적극적인 플레이가 필요
- **미니언 하나하나 넘어서 딜교환하는 법을 배워라**: 이것만으로도 큰 차이가 난다
- **실수를 두려워하지 말라**: 밤새 늘지 않지만 경험이 쌓이면 확실히 성장한다

웨이브 관리와 매크로

- **슬로우 푸쉬, 프리징, 웨이브 당기기를 활용하라**: 무의미한 핑퐁 웨이브는 그만
- **맵 다른 곳으로 로테이션하는 법을 배워라**: 항상 자기 라인으로만 돌아갈 필요 없다
- **미드 웨이브만 정리하고 가만히 있지 말라**: 적극적으로 플레이를 찾아 나서라

멘탈 관리

"불평 그만하고 게임에 집중하라. 서포터나 정글러 탓하면서 쉽게 포기하는 원딜러들을 너무 많이 봤다. 대부분의 게임은 충분히 이길 수 있는 상황이었다."

결론: 원딜은 생각보다 강한 포지션

포벨터의 이번 도전은 '원딜 = 약한 포지션'이라는 고정관념에 의문을 제기한다. 물론 서포터 의존도가 높고 초반이 어려운 건 사실이지만, 게임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과 캐리 잠재력은 다른 어떤 포지션보다 클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챔피언 픽보다는 플레이어 실력이 더 중요하다"는 그의 조언은 많은 원딜러들에게 희망적인 메시지가 될 것 같다. 크라켄 슬레이어 같은 공격속도 아이템으로 "pew pew" 소리를 내며 빠르게 공격하는 재미도 덤이다.

결국 원딜의 성패는 플레이어가 얼마나 적극적으로 한계를 시험하고, 기본기를 다지며, 팀과 호흡을 맞추느냐에 달려있다는 게 포벨터의 결론이다.

원문: https://reddit.com/r/leagueoflegends/comments/1n0yo7q/pobelters_thoughts_on_the_adc_role_players_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