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게임 'PEAK' 개발진, 로블록스 짝퉁게임에 발칵 '원작을 플레이하라'

로블록스 내 짝퉴게임 문제, 드디어 원작 개발사가 직접 나섰다
지난 8월 5일, 인디게임 'PEAK'의 개발진이 로블록스 내에서 자신들의 게임을 무단으로 베낀 'CLIFF'라는 게임을 강력히 비판하며 화제가 되고 있다. 덱서토(Dexerto)가 전한 소식에 따르면, PEAK 개발팀은 "과금 유도로 가득한 쓰레기 짝퉁게임보다는 원작을 플레이하는 것을 선호한다"며 직설적으로 비판했다.
이번 사건은 로블록스 커뮤니티에서 3,293개의 업보트를 받으며 뜨거운 반응을 일으켰다. 특히 원작 개발사가 로블록스 내 짝퉁게임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평가받고 있다.
유저들의 엇갈린 반응, "아이들에겐 어쩔 수 없는 선택"
커뮤니티 유저들은 이 문제에 대해 복잡한 시각을 보였다.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댓글(1,574 업보트)에서는 "아이들이 CLIFF를 플레이하는 이유는 돈이 없어서"라며 현실적인 문제를 지적했다.
- PEAK는 유료 게임이며 PC 전용
- CLIFF는 무료이며 콘솔과 모바일에서도 플레이 가능
- 대부분의 아이들은 구매력이나 적절한 하드웨어가 부족
또 다른 인기 댓글(883 업보트)에서는 "아이들은 로블록스 밖을 생각하지 않는다"며 "블록스(Blox) 밖으로 나와서 생각해야 한다"는 말장난으로 웃음을 자아내기도 했다.
로블록스 짝퉁 문제의 구조적 원인
유저들은 이 문제가 단순한 저작권 침해를 넘어서는 구조적 문제라고 분석했다. 한 유저(177 업보트)는 "인디 개발사들이 모바일 무료 버전을 만들지 않는 한 이런 일은 계속될 것"이라며,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로블록스는 오랫동안 인기 게임들의 '복사판 양산 플랫폼' 역할을 해왔다:
- 데드 바이 데이라이트의 영향을 받은 Forsaken, Flee the Facility
- 수많은 FNAF 클론 게임들
- 포켓몬, 페이데이 등 유명 IP를 차용한 게임들
CLIFF의 현황과 문제점
현재 CLIFF는 500만 방문자 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실시간 플레이어는 8,000명에 달한다. 하지만 게임의 품질에 대해서는 혹독한 평가가 이어졌다.
유저들에 따르면 CLIFF는:
- 5개의 게임패스 판매
- 도박성 아이템인 'Fruit Ruffle' 운영
- 99%가 AI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
- 배너 이미지마저 AI 생성으로 보임
인디 개발사들의 해적판에 대한 관대한 태도
흥미롭게도 많은 유저들이 인디 개발사들의 해적판에 대한 관대한 태도를 언급했다. 특히 ULTRAKILL의 개발자 하키타(Hakita)의 "문화는 돈을 낼 수 있는 사람들만을 위해 존재해서는 안 된다"는 명언과, Just Shapes and Beats의 유머러스한 해적판 대응 메시지 등이 화제가 됐다.
이는 대형 게임사와 인디 개발사 간의 철학적 차이를 보여주는 사례로, 많은 인디 개발자들이 수익보다는 게임을 통한 즐거움 전달에 더 중점을 둔다는 분석이 나왔다.
로블록스, 이제는 "슬롭과 근친교배의 플랫폼"
한 유저(127 업보트)는 "예전에는 마인크래프트 키즈들이 로블록스를 짝퉁이라고 부를 때 로블록스를 변호했지만, 이제 로블록스는 그냥 쓰레기와 서로 베끼기만 하는 플랫폼이 됐다"며 플랫폼의 변질을 한탄했다.
이번 사건은 로블록스 생태계 내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원작 게임조차 해적판을 권장할 정도로 문제가 심각해진 상황에서, 로블록스와 게임업계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원본 레딧 게시물: https://reddit.com/r/roblox/comments/1mif1cb/peak_devs_has_called_out_roblox_copy_cliff/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