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악! 엔비디아 CEO "AI 연구원 절반이 중국인"...미국 교육 체계에 경종 울려

"이대로 가다간 AI 주도권 넘겨줄 수도"…황 CEO 우려 표명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미국 AI 경쟁력에 적신호가 켜졌다며 교육 시스템 개선을 촉구해 화제다. 황 CEO는 전 세계 AI 연구자의 절반이 중국인이라는 충격적인 사실을 언급하며, 미국이 이 '무한한 게임'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국민의 기술 재교육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2일(현지시간) 테크 미디어들에 따르면, 황 CEO의 발언은 미국의 기술 경쟁력이 위협받고 있다는 업계 내 공감대를 반영한 것이다. 특히 이 발언은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을 준비하는 시점에서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대학 예산 삭감하고 과학자 추방하는데 AI 경쟁력을 어떻게 키우나"
레딧 사용자들은 황 CEO의 발언에 대해 미국의 교육 정책 현실과 연결지어 강한 비판을 쏟아냈다. 댓글에서는 미국이 교육과 과학에 등을 돌리고 있다는 지적이 주를 이뤘다.
"미국은 현재 교육, 과학, 지성과 전쟁 중이다. 이래서는 AI 인재 양성이 불가능하다"라는 댓글이 많은 공감을 얻었다.
특히 최근 미국에서는 국립과학재단(NSF)이 학계 AI 연구 지원금 지급을 중단하고 있어 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 사용자는 "상황은 나아지기는커녕 더 나빠지고 있다. 황 CEO가 구체적인 정책 해결책을 언급하지 않고 이런 얘기만 하는 건 답답하다"고 비판했다.
"말만 하지 말고 교육에 투자해라"
많은 사용자들은 엔비디아와 같은 거대 기업들이 교육 시스템 개선에 직접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가장 많은 추천을 받은 댓글 중 하나는 "그럼 당신이 직접 교육 프로그램에 투자하세요, 젠슨. 백악관에 있는 당신 친구(트럼프)는 그런 일 안 할 테니까요"라는 내용이었다.
다른 사용자는 "앤드류 카네기가 전국 도시에 도서관을 지었던 것을 기억하나요? 현재 어떤 억만장자가 공공의 이익을 위해 뭐라도 하고 있나요?"라고 반문했다. 또 다른 댓글은 "GM은 100년 전 직업학교를 인수해 수십 년간 숙련된 인력을 양성했지만, 요즘 기업들은 1주일 교육도 제대로 안 한다"고 지적했다.
"미-중 갈등 속 인재 유출 가속화될 수도"
또 다른 논점으로는 미국의 반이민 정서와 외국인 과학자들에 대한 의심이 인재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한 레딧 사용자는 "AI 연구는 미국 내 중국인들과 중국 내 중국인들 간의 경쟁이라는 말이 있다. 트럼프의 외국인 혐오 정책으로 그 50%의 균형이 중국 쪽으로 기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중국의 AI 연구직 급여가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어떤 중국인 연구자가 미국에서 구금될 위험을 감수하겠느냐"는 지적도 나왔다.
중국계 과학자들에 대한 의심을 키웠던 '차이나 이니셔티브' 정책을 트럼프가 부활시키려 한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 정책은 2018년 트럼프 행정부에서 시작해 2022년 바이든 행정부에서 종료된 바 있다.
"이미 기차는 떠났다"
일부 사용자들은 미국이 이미 AI 기술 경쟁에서 주도권을 상실했다고 비관적 전망을 내놓았다. "트럼프가 미국의 기술 공간을 중국과 유럽 뒤로 봉인해버렸다"며 "미국 정부에서 기술 지능을 모두 제거하고 있어 미래는 이미 미국의 손을 떠났다"는 의견도 있었다.
한 사용자는 "엘리트 대학을 위협하고 교육 예산을 삭감하는 것이 분명히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현재 교육 정책을 풍자했다.
엔비디아, 트럼프 시대 어떤 영향 받을까
엔비디아는 AI 칩 부문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과의 기술 경쟁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회사의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젠슨 황 CEO는 미국 내 AI 인재 양성의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현실적으로 단기간에 이 문제가 해결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업계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엔비디아가 중국과의 관계에서 더 많은 규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으며, 중국 시장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전략 변화가 필요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특히 황 CEO의 발언은 이러한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볼 수 있다는 평가다.
앞으로 AI 인재 확보 경쟁이 국가 간 기술 패권 경쟁의 핵심이 될 전망이며, 미국의 교육 시스템이 이에 어떻게 대응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