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적인 '고양이 매치' 광고, 결국 인력착취까지 등장했다

AI로 생성한 모바일게임 광고들이 도를 넘고 있다
최근 모바일 게임 광고계에서는 AI로 무분별하게 생성한 광고들이 넘쳐나고 있습니다. 특히 매치3 퍼즐 게임 광고들이 자극적인 내용으로 사용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고 있는데요. 레딧의 'shittymobilegameads' 커뮤니티에서 한 유저가 5월 4일 공유한 '고양이 매치' 게임 광고가 또다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해당 게시물은 불과 몇 시간 만에 200개 이상의 추천을 받았으며, 50개 이상의 댓글이 달렸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광고는 이전보다 더 충격적인데, 귀여운 고양이가 강제 노동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게시물 작성자는 "이전 광고를 올린 후 더 많은 광고를 받았는데, 이번에는 고양이가 강제 노동을 하는 독특한 광고였다"고 설명했습니다.
획일화된 패턴과 웃음소리로 사용자들 짜증 유발
이 광고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매번 똑같은 패턴을 반복한다는 것입니다. 댓글에서 가장 많은 공감을 받은 의견은 "항상 똑같은 웃음소리를 사용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는 이런 류의 AI 생성 광고들이 대부분 동일한 템플릿과 음향 효과를 재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입니다.
![불량 모바일 게임 광고 예시 이미지]
유저들은 또 다른 유사한 광고 사례도 공유하며, 이러한 AI 생성 광고가 얼마나 광범위하게 퍼져있는지 보여주었습니다.
게임 내용과 광고 내용의 불일치 논란
많은 유저들이 지적한 또 다른 문제는 이러한 광고들이 실제 게임 내용과 전혀 관련이 없다는 점입니다. 대부분 단순한 매치3 퍼즐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광고에서는 스토리텔링이나 시나리오 요소를 강조하며 소비자를 오도하고 있습니다.
한 댓글러는 "이런 광고 보고 실제로 게임을 다운로드했던 적이 있는데, 게임 내용은 완전히 달랐다. 그냥 평범한 캔디크러시 같은 게임이었다"고 실망감을 표시했습니다.
글로벌 모바일 게임 광고 시장의 문제점
이러한 AI 생성 광고의 범람은 모바일 게임 광고 시장 전체의 문제점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된 AI 광고들은 사용자 경험을 해칠 뿐만 아니라, 진정성 있는 게임 개발자들의 마케팅 노력까지 가치 절하시키고 있습니다.
게임 산업 전문가들은 이러한 오도성 광고가 장기적으로는 모바일 게임 시장 전체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특히 AI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런 저품질 콘텐츠의 대량 생산이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용자들의 대응과 향후 전망
레딧 사용자들은 이러한 광고를 접할 때마다 신고하거나 차단하는 방법을 공유하며 대응하고 있습니다. 일부 사용자들은 광고 차단 앱을 사용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조언하기도 했습니다.
한 유저는 "이런 광고들이 계속 노출되는 이유는 클릭률이 높기 때문"이라며, "아무리 황당해도 호기심에 클릭하게 되는 심리를 노리는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모바일 게임 광고 시장이 AI 기술과 함께 발전해 나가는 가운데, 허위 광고와 오도성 마케팅에 대한 규제와 감시가 더욱 강화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의 꾸준한 신고와 문제 제기가 중요한 시점입니다.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