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레전드 2ms 핑의 비밀, 라이엇이 자체 인터넷 망을 구축한 이유

리그 오브 레전드 2ms 핑의 비밀, 라이엇이 자체 인터넷 망을 구축한 이유

프로 선수의 2ms 핑, 과연 어떻게 가능한 걸까?

지난 24일 게임 개발 커뮤니티 레딧에 흥미로운 질문이 올라왔다. 한 개발자가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선수의 방송을 보다가 2ms라는 경이로운 핑을 목격하고는 "도대체 어떻게 이런 게 가능하냐"며 궁금증을 토로했다.

이 질문에 대한 답변들을 살펴보면, 라이엇 게임즈가 얼마나 치밀하게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했는지 알 수 있다. 단순히 좋은 서버만으로는 절대 불가능한 수준의 최적화가 숨어 있었다.

핑의 정체, 게임 연산과는 전혀 별개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부분이 바로 이것이다. 핑(Ping)은 게임 서버의 연산 처리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한 댓글 사용자는 "핑은 표준화된 프로토콜이자 신호다. 서버가 핑을 받으면 즉시 응답을 보내는 것뿐이다"라고 설명했다.

게시물 작성자가 궁금해했던 야스오의 바람장막이나 복잡한 스킬 연산들은 실제로는 핑과 무관하다. 핑은 순수하게 데이터가 서버까지 갔다가 돌아오는 시간만을 측정할 뿐이다.

그렇다면 2ms라는 수치는 어떻게 나온 걸까? 광섬유 전송만으로도 1000km당 약 1ms가 걸린다. 각 라우터를 거칠 때마다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초씩 추가 지연이 발생한다. 결국 2ms 핑이 나오려면 서버에서 반경 10-100km 이내에 있어야 하고, 매우 직접적인 연결 경로가 확보되어야 한다.

라이엇의 비밀병기, 자체 인터넷 망 구축

가장 많은 추천을 받은 댓글(182개)은 단순명료했다. "라이엇이 자체 인터넷 망을 구축했다." 이것이 핵심이었다.

라이엇은 'Riot Direct'라는 자체 네트워크 인프라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일반적인 인터넷 경로를 우회한다. 플레이어들에게 더 가까운 지점에서 트래픽을 수집해 서버로 더 직접적으로 라우팅하는 방식이다.

한 사용자는 "이게 진짜 답이다. 상위 댓글에서 설명한 건 라이엇의 연결 속도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며 라이엇의 네트워크 투자가 핵심임을 강조했다.

서버는 생각보다 단순하게 작동한다

그렇다면 서버는 정말 1ms 만에 모든 연산을 처리할까? 전혀 그렇지 않다. 리그 오브 레전드 서버의 틱 레이트는 약 30Hz다. 즉, 게임 상태를 초당 30번, 약 33ms마다 한 번씩 업데이트한다.

플레이어가 120fps 이상으로 플레이한다면 클라이언트에서 부드럽게 보간 처리를 하는 것뿐, 서버는 디스플레이 업데이트보다도 느린 속도로 작동한다.

또한 서버는 그래픽 처리가 전혀 필요 없어 매우 가볍고 최적화되어 있다. 리그 오브 레전드는 사실상 2D 게임이다. '공중에 뜬' 상태는 '기절'과 같은 단순한 효과일 뿐, 시각적으로만 위로 움직일 뿐 히트박스는 여전히 2D 위치에 남아있다.

한 개발자는 "리그 오브 레전드는 순수하게 약 100개 정도의 단순한 개체를 시뮬레이션하는 2D 그리드다. 대부분 MMO보다 훨씬 쉽고, 100명이 참여하는 배틀로얄보다는 몇 배나 간단하다"고 설명했다.

클라우드 인프라의 힘

게임은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호스팅된다. 라이엇이 직접 운영하는 서버 센터도 있고, 임대하는 것도 있다. 하나의 가상 머신에서 여러 게임을 동시에 호스팅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아마존(AWS)이나 마이크로소프트(Azure)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추가 서버를 즉석에서 임대하기도 한다. 밤시간처럼 서버 사용률이 낮을 때는 남는 자원을 플레이어 데이터 통계 분석이나 유지보수 등 다른 용도로 활용한다.

한국 게이머들도 체감하는 라이엇의 투자

실제로 한국 게이머들도 라이엇의 이런 투자 효과를 체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10-30ms 정도의 핑이 평균적이지만, 라이엇의 자체 네트워크 덕분에 다른 게임 대비 상당히 안정적이고 낮은 지연시간을 경험할 수 있다.

프로 선수가 보여준 2ms의 경이로운 수치는 단순히 좋은 인터넷 회선의 결과가 아니라, 라이엇이 수년간 구축해온 네트워크 인프라 투자의 결실이었던 셈이다.

게임 한 판을 위해 이 정도까지 투자한다는 것, 이것이 바로 세계 최고의 e스포츠 게임이 되기 위한 라이엇의 치밀한 전략이었다.


원문: https://reddit.com/r/gamedev/comments/1m84t7f/how_does_league_of_legends_achieve_such_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