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이는 AI 쓰레기 게임이 아니다? 커뮤니티 반박 논란 확산
인조이 둘러싼 'AI 쓰레기 게임' 논란, 팬들이 나섰다
지난 11월 13일, 크래프톤의 야심작 <인조이>를 둘러싼 흥미로운 논쟁이 레딧에서 벌어졌다. 한 유저가 "인조이는 AI 쓰레기 게임이 아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며 게임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으려 나선 것. 이 글은 329개의 추천을 받으며 148개의 댓글이 달릴 정도로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원글 작성자는 "인조이 관련 영상 댓글에서 사람들이 이 게임을 그렇게 부르는 걸 몇 번이나 봐야 하는 거냐"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특히 틱톡에서 AI로 만든 저질 콘텐츠들을 많이 봐왔기 때문에 그것이 어떤 건지 알고 있다며, 인조이는 그런 게임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로컬 처리 방식에 대한 오해 해명
가장 주목받은 댓글(167개 추천)은 AI 처리 방식에 대한 기술적 설명이었다. "생성 작업은 우리 GPU에서 일어나는 거지, 어떤 미스터리한 서버 팜에서 하는 게 아니다. 그래픽카드가 그림자나 물리 효과를 렌더링하는 것처럼 모델을 처리할 뿐"이라며 환경 영향에 대한 우려를 반박했다.
이 댓글은 계속해서 "짧은 GPU 작업 하나가 쇼 스트리밍이나 출근하는 것보다 에너지를 덜 쓴다"며 "사람들은 AI가 지구를 녹이고 있다고 하지만, 일상적인 것들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특히 "AI와 물 사용량에 대해 소리지르면서 햄버거 먹고 패스트패션 사는 사람들의 위선"을 지적하기도 했다.
'유행어'가 된 'AI 쓰레기'라는 표현
90개 추천을 받은 다른 댓글은 더욱 직설적이었다. "'AI 쓰레기'가 이제 유행어 같은 게 된 것 같다. 이 사람들은 심즈에 경쟁작이 생긴 걸 화내고 있다"며 "인조이에 대해 뭐라고 할까? 심즈보다 기능이 적다고? 아니지. 너무 현실적이라고? 어떤 사람들은 그걸 좋아한다. 아, 잠깐 AI가 있다고 들었는데! AI 쓰레기다!"라고 비꼬았다.
이 댓글에는 "패럴라이브즈에 대해서는 뭘 핑계로 깎아내릴까"라는 답글(36개 추천)이 달렸고, 또 다른 답글(24개 추천)은 "아마 그냥 별로라고 하고 넘어갈 것 같다. 우리 모두 그 게임이 얼마나 과대광고되고 있는지, 사람들이 심즈 킬러를 기대하면서 인디 개발사의 얼리 액세스 게임이라는 걸 잊고 있다는 걸 안다"고 예측했다.
개발진에 대한 오해와 동정
22개 추천을 받은 댓글은 개발진에 대한 동정을 표했다. "개발자들이 너무 안쓰럽다. 열심히 일했는데 로봇이 게임을 만들었다고 하면서 노고를 무시당하는 상상을 해봐라"며 "솔직히 일부 비판은 EA 크리에이터들이 심은 게 아닌가 싶다. 곤즈인가 하는 이름의 사람이 있었는데, 그런 유료 사람들이 게임을 까기 시작하니까 사람들이 따라서 말하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이 댓글은 "EA가 돈이 필요하니까 누구도 심즈를 떠나지 못하게 하려는 거다. 아마 패럴라이브즈에도 똑같이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술적 사실과 감정적 반응 사이
한 유저는 인터뷰 영상을 인용하며 "크래프톤이 개발에 AI를 많이 활용하고 있지만, 사람들이 예상하는 용도는 아니다. 예술 창작보다는 조직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부분의 대형 게임사들이 이제 이런 식으로 하고 있는데, 크래프톤이 더 공개적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34개 추천을 받은 답글은 "도구를 도구로 사용하는 건데, 레딧의 상당 부분은 AI가 들어간 건 뭐든 나쁘다고 생각한다"며 현재 AI에 대한 과도한 반감을 지적했다.
게임 업계의 AI 활용 현실
EA도 게임에 AI 투자를 하겠다고 발표했는데, 그러면 이런 사람들이 심즈도 버릴 건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AI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이나 윈도우 PC를 쓰면서 AI를 혐오한다는 게 앞뒤가 안 맞는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 유저는 "인조이가 계속 발전해서 사람들이 결국 좋은 게임이라는 걸 깨달았으면 좋겠다. 디스코드에서 커뮤니티와 소통하는 K준을 보면 이런 말들이 나오는 게 안타깝다"며 개발진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현재 인조이는 선택적 AI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들은 모두 로컬에서 처리되며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크래프톤은 또한 텍스처 학습에 사용되는 이미지들의 소유권을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게임 업계의 AI 활용이 점점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조이를 둘러싼 이번 논쟁은 기술 발전과 게이머들의 감정적 반응 사이의 간극을 보여주는 사례가 되고 있다.
레딧 원문: https://reddit.com/r/inZOI/comments/1ovwhnz/inzoi_isnt_an_ai_slop_game/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