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의 AI 개발 도구, 결국 돈만 더 드는 꼴... "수정 비용이 더 비싸다"

EA의 AI 개발 도구, 결국 돈만 더 드는 꼴... "수정 비용이 더 비싸다"

EA의 AI 개발 실험, 예상보다 훨씬 심각한 상황

10월 25일 레딧을 통해 화제가 된 소식에 따르면, EA가 도입한 AI 게임 개발 도구들이 오히려 더 많은 비용을 발생시키고 있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드러났다. AI가 만든 코드나 콘텐츠의 오류를 수정하는 비용이 처음부터 사람이 만드는 것보다 더 비싸다는 것이다.

게이머들과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이런 일이 일어날 줄 누가 몰랐겠냐"는 냉소적인 반응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AI 기술에 대한 과도한 기대와 투자가 현실적인 한계에 부딪힌 대표적인 사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개발자들의 생생한 증언들

레딧에서 가장 많은 공감을 받은 댓글 중 하나는 실제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경험담이었다. 한 개발자는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

  • "AI는 테스트용 빌드는 그럭저럭 만들 수 있지만, 실제 출시 가능한 수준의 코드는 완전히 불가능하다"
  • "AI가 만든 코드는 스파게티 코드 그 자체이고, 실제 유저들이 테스트하면 2초 만에 망가진다"
  • "AI가 인간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아무리 기술 대기업들과 AI CEO들이 설득하려 해도 말이다"

또 다른 개발자는 더욱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했다. "간단한 파이썬 스크립트로 파일들을 일괄 처리하라고 AI에게 시켰더니, 원래 작업은 하지 않고 파일들을 전부 삭제해버렸다"며 "가장 간단한 작업이라도 AI에게 맡기느니 직접 하는 게 훨씬 낫다"고 토로했다.

업계의 냉소적 반응

게임 업계와 레딧 유저들의 반응은 대체로 냉소적이다. "lol", "lmao", "rofl even"과 같은 댓글들이 줄줄이 달리며, 이미 예견된 결과라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한 유저는 "이런 결과를 누가 예상하지 못했겠냐"며 비꼬았고, 다른 유저는 "그래도 사우디아라비아에 팔릴 정도의 가치는 있었나 보다"며 EA의 최근 투자 유치 소식을 언급하기도 했다.

AI 개발 도구의 현실적 한계

이번 사건은 게임 개발 분야에서 AI 기술의 현실적 한계를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많은 개발자들이 지적하는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 테스트 환경에서는 작동하지만 실제 환경에서는 오류 발생
- 복잡한 로직 처리 능력 부족
- 인간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 대체 불가
- 코드 품질과 유지보수성 문제

게임 업계의 AI 도입, 재검토 필요할 듯

EA의 이번 사례는 게임 업계 전체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AI 기술에 대한 무분별한 투자와 도입보다는, 실제 현장에서의 효율성과 비용 대비 효과를 냉정하게 평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한국 게임사들도 AI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에서, EA의 실패 사례는 값진 교훈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인 것 같다.

출처: 레딧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