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ngrak Choi

Sangrak Choi

로블록스, 코퍼레이트 이미지로 대변신... 로허브, 로렌더 등 마이크로소프트 따라하나?

로블록스, 코퍼레이트 이미지로 대변신... 로허브, 로렌더 등 마이크로소프트 따라하나?

로블록스, 마이크로소프트식 기업 이미지로 탈바꿈 시도 로블록스가 기업형 이미지로 대대적인 변화를 시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3일 레딧을 통해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로블록스는 자사의 서비스를 '로(Ro)' 시리즈로 통일하는 브랜딩 전략을 준비 중인 것으로 보인다. 공개된 이미지에는 기존 로블록스 로고와 함께 '로블록스 스튜디오', '로블록스 파티'
Sangrak Choi
충격! 엑스박스 콘솔 가격 대폭 인상, 연말 게임 가격 8만원 시대 온다

충격! 엑스박스 콘솔 가격 대폭 인상, 연말 게임 가격 8만원 시대 온다

엑스박스 하드웨어 전 라인업 가격 대폭 인상 확정 마이크로소프트가 엑스박스 시리즈 콘솔 전 라인업의 가격을 대폭 인상한다고 발표해 게임 커뮤니티가 발칵 뒤집혔다. 5월 1일(현지시간) 공개된 가격 인상안에 따르면, 기존 499달러였던 엑스박스 시리즈 X는 600달러로, 300달러였던 시리즈 S는 400달러로 각각 인상된다. 더불어 충격적인 소식은 올 연말 출시되는 게임들의 가격이 현재
Sangrak Choi
라이엇이 미쳤다? 타임밤 커플링 회화 아트까지 공식 의뢰, 팬들 '경악'

라이엇이 미쳤다? 타임밤 커플링 회화 아트까지 공식 의뢰, 팬들 '경악'

라이엇 게임즈, '타임밤' 지지를 위한 행보 멈출 줄 모른다 라이엇 게임즈가 아케인 시즌 2 사운드트랙 확장판 기념으로 화가 태일리아 스탠턴(Tahlia Stanton)에게 '타임밤' 테마의 유화 그림을 공식 의뢰했다는 소식이 4월 24일 레딧 커뮤니티를 통해 알려졌다. 이는 지난 몇 주간 라이엇이 보여준 징크스와 에코의 관계성을 강조하는
Sangrak Choi
"스플래시 아트만 믿었다가 충격" LoL 유저들이 밝힌 '최악의 스킨' 사연 모음

"스플래시 아트만 믿었다가 충격" LoL 유저들이 밝힌 '최악의 스킨' 사연 모음

"스플래시만 보고 산 내 돈… 현실은 달랐다" LoL 유저들의 최악 스킨 후기 모음 라이엇 게임즈의 인기 MOBA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는 수많은 챔피언 스킨으로 유저들의 지갑을 열게 만든다. 하지만 모든 스킨이 기대한 만큼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지난 4월 29일 레딧 리그 오브 레전드 커뮤니티에서 한
Sangrak Choi
발로란트 선수들의 뒷말, 결국 드러난 엄청난 실체... "라이엇 눈치 보느라 기술 문제 항의 못 해"

발로란트 선수들의 뒷말, 결국 드러난 엄청난 실체... "라이엇 눈치 보느라 기술 문제 항의 못 해"

"VCT 슬롯 갱신 앞두고 라이엇 눈치만 보는 팀들"..청천벽력 폭로 최근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VCT) EMEA에서 발생한 잦은 기술적 문제로 선수들과 팬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프랑스 인기 구단 카민 코프(Karmine Corp)의 구단주가 충격적인 내부 사정을 폭로해 파문이 일고 있다. 지난 5월 1일(현지시간) 카민 코프의
Sangrak Choi
결국 폭로됐다, 엑스박스 AI 사용 강제? 꼼펄션 게임즈 대표가 직접 해명 나서

결국 폭로됐다, 엑스박스 AI 사용 강제? 꼼펄션 게임즈 대표가 직접 해명 나서

마이크로소프트, 게임 개발 과정에서 AI 활용 '선택'이라는 입장 재확인 마이크로소프트 산하 게임 개발사 '꼼펄션 게임즈(Compulsion Games)'의 대표 기욤 프로보스트가 엑스박스 스튜디오들의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프로보스트 대표는 "생성형 AI 사용이 의무화되었다는 주장은 절대적으로 거짓"이라며 강하게 부인했다. "생성형
Sangrak Choi
현실은 시궁창인데... 아빠 다쳐서 돌아와도 '로벅스'만 생각하는 딸

현실은 시궁창인데... 아빠 다쳐서 돌아와도 '로벅스'만 생각하는 딸

게임 세대와 기성세대 간 인식 차이 화제 최근 레딧에서 '인생은 로블록스'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지난 4월 30일 업로드된 이 게시물은 하루 만에 2,000개 이상의 추천을 받으며 많은 이들의 공감과 논란을 동시에 불러일으켰습니다. 문제의 이미지는 군복을 입은 부상병 아버지가 집에 돌아온 장면을 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