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게임 개발자를 대체한다고? 진짜 문제는 경영진이다"

게임업계 AI 논쟁, 새로운 관점 제시
지난 7월 21일, 레딧 게임 개발 커뮤니티에서 게임업계의 AI 활용에 대한 흥미로운 논의가 벌어졌다. '게임 개발자를 대체하는 건 AI가 아니라 경영진'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700여 개의 추천과 300개의 댓글을 받으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이 게시물은 현재 게임업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AI 도입과 대량 해고 사태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개발자들이 AI 때문에 일자리를 잃는 것이 아니라, 경영진의 잘못된 판단이 진짜 원인이라는 것이다.
개발자들의 냉소적 반응
댓글들을 살펴보면 게임 개발자들의 현실적이고 때로는 냉소적인 반응을 엿볼 수 있다.
한 개발자는 "인디 게임들이 여전히 건재한 이유는 경영진들이 자신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쉽게 대체될 수 있는 존재들이기 때문"이라며 434개의 추천을 받았다. 이에 대한 답글에서는 더욱 신랄한 비꼬기가 이어졌다.
"우리 CEO는 직원들보다 1000배 더 큰 가치를 제공하면서도 겨우 300배만 받아간다. 이건 범죄 수준이다"라는 댓글이 233개의 추천을 받으며 경영진에 대한 개발자들의 불만을 여실히 드러냈다.
AI보다 쉽게 대체될 수 있는 건 경영진?
특히 주목받은 댓글은 "경영진을 AI로 대체하는 게 더 저렴할 것"이라는 의견이었다. 이에 대한 답글에서 한 개발자는 구체적인 분석을 제시했다.
"재미있게도 경영진의 업무(특히 관리 업무)야말로 AI가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일들이다. 관리자는 주로 업무와 일정, 메모를 추적하고,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며(각기 다른 그룹에 맞는 톤으로), 항상 전문적이고 정중함을 유지해야 한다. 인간 관리자들은 이런 일에 형편없이 서투르지만(관리직을 기존에 유능했던 역할에서의 '승진'으로 여기기 때문), 이건 정말로 현재 AI가 완벽하게 할 수 있는 일이다."
게임 개발의 복잡성에 대한 현실적 시각
한편, AI가 게임 개발을 쉽게 만들어줄 것이라는 일반적인 인식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반응이 주를 이뤘다.
"게임 개발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게임 제작이 얼마나 복잡한지 안다. AI가 분명 일을 쉽게 만들어줄 수는 있지만, 레딧에서 'AI가 게임 개발을 쉽게 만들어준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정말 우스꽝스럽다. 그들이 무슨 소리를 하는지 전혀 모른다는 걸 보여줄 뿐이다. 그런 말을 하는 사람들은 아마 언리얼이나 유니티를 배우는 데 1시간도 투자해본 적이 없을 것"이라는 댓글이 72개의 추천을 받았다.
인디 게임계의 어려운 현실
인디 게임의 현황에 대해서도 현실적인 목소리들이 나왔다. 한 개발자는 "인디 게임들이 전혀 잘나가고 있지 않다. 펀딩 환경은 2015년 인디게임 대재앙보다도 더 나쁘고, 스튜디오들이 좌우로 문을 닫고 있다. 인디 스튜디오들이 99% 운영될 수 있는 유일한 이유는 무급 열정 노동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박도 있었다. "펀딩 없이 게임을 만드는 것은 그 어느 때보다 쉬워졌다"는 의견과 함께 "하지만 집세는 전혀 싸지지 않았다"는 현실적인 답변이 뒤따랐다.
AI 시대, 역설적 기회론
흥미롭게도 일부 개발자들은 AI 시대가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했다.
"개발자들을 해고하는 대기업 경영진들이 몇 년 후 심각하게 후회하게 될 것이다. AI가 바로 그 해고된 개발자들로 하여금 소규모 팀으로도 AA급, 심지어 AAA급 게임을 만들 수 있게 해줄 테니까. 갑자기 실제 현장 경험을 가진 유능한 인재들이 대거 풀려나왔고, 이제 그들에게 시간도 생겼다. 당연히 그들 중 일부는 뭉쳐서 자신들만의 프로젝트를 만들 것이다. 그리고 그들도 자신들을 해고한 회사들과 동일한 AI 도구에 접근할 수 있다."
이어서 "'20명의 개발자를 AI 도구 하나로 대체할 수 있다!'라고? 좋다. 하지만 당신들은 동일한 자원을 가진 20개의 경쟁 개발팀을 만들어낸 셈이다. 잘했다, 경영진. 이게 엄청나게 역풍을 맞지 않을 리가 없지"라며 신랄한 비판을 이어갔다.
영상 vs 텍스트, 정보 전달 방식 논쟁도
한편 이 게시물이 유튜브 영상을 링크한 것에 대해서도 흥미로운 반응들이 나왔다. "영상 에세이가 싫다. 왜 긴 글 형태로 쓸 수 없나?"라는 댓글이 76개의 추천을 받았고, "긴 유튜브 영상을 앉아서 보는 것보다 글로 읽는 걸 1000배 더 선호한다"는 답글이 66개의 추천을 받았다. 이에 대한 답은 간단했다: "긴 글은 수익화할 수 없으니까."
게임업계의 AI 도입과 개발자 해고 문제는 단순히 기술적 혁신의 문제가 아니라 경영 철학과 산업 구조의 문제라는 개발자들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전해지는 토론이었다.
출처: 레딧 게시물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