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사진 판별 게임에 1만 2천명 몰려, 결과는 충격적
AI 이미지 구별 게임, 2개월 만에 1만 2천명 돌파
지난 7월 레딧에서 화제가 된 AI 이미지 판별 게임이 2개월 만에 놀라운 성과를 거뒀다. 9월 23일 게임 개발자가 업데이트 소식을 전하며, 출시 이후 1만 2천명이 넘는 사용자들이 게임을 플레이했다고 밝혔다.
게임 방식은 간단하다. 두 장의 사진 중 하나는 인간이 촬영한 실제 사진이고, 다른 하나는 미드저니 등 AI로 생성한 이미지다. 사용자는 어느 것이 AI 이미지인지 맞춰야 한다. 회원가입 없이 바로 플레이할 수 있으며, 모바일에서도 최적화되어 있다.
유저들의 놀라운 정확도, 하지만 한계도 드러나
게임을 플레이한 유저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많은 사용자들이 예상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지만, 동시에 게임의 한계점도 지적했다.
높은 정확도를 기록한 유저들: - "19/20 맞췄다" (1,993개 추천) - "20/20 완벽했다. 디지털 포렌식 분야에서 AI 탐지 업무를 하고 있어서 그런 것 같다" (309개 추천) - "16/20으로 85% 정확도를 기록했다" (653개 추천)
하지만 가장 많은 공감을 받은 댓글은 게임의 근본적인 문제를 지적했다. "둘 중 하나가 AI라는 걸 알고 찾는 것과 실제 상황에서 AI 이미지를 마주치는 것은 완전히 다르다"는 의견이다. 실제로 SNS에서 스크롤하면서 지나가는 이미지들에 대해서는 그렇게 꼼꼼히 살펴보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AI 이미지의 특징, 패턴이 보이기 시작했다
게임을 반복하며 유저들은 AI 이미지만의 특징을 파악하기 시작했다:
AI 이미지의 공통점들: - 과도한 완벽함: "객관적으로 더 '예쁜' 이미지가 AI였다" - 부자연스러운 선명도: "AI 이미지들은 모두 실제 사진에는 없는 특유의 '선명함'을 가지고 있었다" - 완벽한 구도와 조명: "전문 사진작가가 찍기에는 너무 완벽한 구도와 조명" - 질감의 이상함: "반복되는 패턴이나 표면의 질감에서 특유의 '노이즈' 같은 느낌이 난다"
한 유저는 "처음엔 어려웠는데, 패턴을 파악하고 나니 '어떤 이미지가 너무 아름다워서 진짜가 아닌 것 같나?'라는 기준으로 골라도 거의 맞더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이 제시한 판별 팁
디지털 포렌식 전문가인 한 유저는 AI 이미지 판별법을 상세히 공개했다:
- 네 모서리 확인: 이미지의 네 모서리가 중심 피사체와 자연스럽게 어울리는지 확인
- 심도 표현: AI는 심도 표현이 부자연스러워 마치 무대 세트 같은 느낌을 준다
- 훈련 데이터의 편향: 예를 들어 '너드' 이미지는 항상 안경을 쓰고 있는 식으로 편향된 특징이 나타난다
- 질감 디테일: 특히 나뭇잎, 표면 등 반복적인 패턴에서 AI 특유의 어색함이 드러난다
게임의 한계와 개선 제안
유저들은 게임의 재미를 인정하면서도 몇 가지 개선점을 제안했다:
주요 개선 제안: - 난이도 조절: 둘 다 AI이거나 둘 다 실제 사진인 경우도 포함 - 단일 이미지 판별: 두 장을 비교하지 않고 한 장만 보고 판별하는 모드 - 로딩 속도 개선: 이미지 로딩이 느려서 답이 스포일러되는 경우가 있다 - 출처 정보 강화: 실제 사진의 경우 촬영자나 출처를 명시해야 한다는 의견
현실적인 우려와 전망
한 유저는 "페이스북에서 스크롤하며 지나가는 이미지들을 일일이 책장의 책까지 확대해서 살펴볼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라며 현실적인 우려를 표했다. 또 다른 유저는 "앞으로는 이미지가 어떤 반응을 유도하려 한다면 극도로 비판적으로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제는 "더 나쁘게" 만드는 것이 더 현실적으로 보일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즉, 흔들림, 불균등한 조명, 어설픈 구도 등을 의도적으로 넣어야 실제 사진처럼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개발자는 유저들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매주 새로운 AI 모델들을 추가하며 게임을 업데이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r/RealityCheckGame 서브레딧을 만들어 주간 토론과 다양한 AI 모델 탐구도 이어갈 계획이다.
이 게임의 인기는 AI 이미지가 일상에 깊숙이 파고든 현실을 보여준다. 동시에 우리가 얼마나 AI의 '완벽함'에 속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기준으로 진짜와 가짜를 구별해야 할지 생각해보게 만든다.
원문 레딧 게시글: https://reddit.com/r/midjourney/comments/1noad67/reality_check_update_everyone_thinks_they_can/
Comments ()